Aws Route 53 기능으로 들어갑니다
호스팅 영역을 클릭하여

도메인 이름에 구입한 도메인을 입력하여 호스팅을 생성합니다 .!

생성 후 세부 정보에 들어와 NS 유형 값 / 트래픽 라우팅 대상 내용을

네임서버를 설정해주면 끝 !
www.을 붙여서 url에 접속하려면 cname 레코드를 사용해야합니다.
A 레코드
도메인 주소 문자열과 서버의 ip 주소를 매핑시키는 방법.
petever.pet 도메인주소와 서버 IP주소가 직접 매핑 된 것.
사용자가 A 레코드에 해당하는 도메인 주소에 대한 해석을 요청하면 DNS 서버는 IP 주소를 리턴해준다.
CNAME 레코드
Canonical Name의 약자로 도메인 주소를 또 다른 도메인 주소에 매핑 시키는 형태의 DNS 레코드 타입.
www.petever.pet 을 요청하면 DNS서버는 petever.pet을 리턴하고 사용자는 다시 petever.pet 정보를 DNS 서버에 요청.
별칭을 붙여 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.~
참고자료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CNAME_%EB%A0%88%EC%BD%94%EB%93%9C
CNAME 레코드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캐노니컬 네임 레코드(Canonical Name record), 줄여서 CNAME 레코드(CNAME record)는 하나의 도메인 네임(에일리어스)을 다른 이름(표준 형식의 이름)으로 매핑시키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(DNS)의 리소스 레코
ko.wikipedia.org
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Route53/latest/DeveloperGuide/SOA-NSrecords.html
Amazon Route 53에서 퍼블릭 호스팅 영역에 대해 생성하는 NS 및 SOA 레코드 - Amazon Route 53
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.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.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.
docs.aws.amazon.com
'참고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Yarn과 npm의 호환성 경고: 무엇이 다를까? (1) | 2024.10.22 |
---|
Aws Route 53 기능으로 들어갑니다
호스팅 영역을 클릭하여

도메인 이름에 구입한 도메인을 입력하여 호스팅을 생성합니다 .!

생성 후 세부 정보에 들어와 NS 유형 값 / 트래픽 라우팅 대상 내용을

네임서버를 설정해주면 끝 !
www.을 붙여서 url에 접속하려면 cname 레코드를 사용해야합니다.
A 레코드
도메인 주소 문자열과 서버의 ip 주소를 매핑시키는 방법.
petever.pet 도메인주소와 서버 IP주소가 직접 매핑 된 것.
사용자가 A 레코드에 해당하는 도메인 주소에 대한 해석을 요청하면 DNS 서버는 IP 주소를 리턴해준다.
CNAME 레코드
Canonical Name의 약자로 도메인 주소를 또 다른 도메인 주소에 매핑 시키는 형태의 DNS 레코드 타입.
www.petever.pet 을 요청하면 DNS서버는 petever.pet을 리턴하고 사용자는 다시 petever.pet 정보를 DNS 서버에 요청.
별칭을 붙여 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.~
참고자료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CNAME_%EB%A0%88%EC%BD%94%EB%93%9C
CNAME 레코드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캐노니컬 네임 레코드(Canonical Name record), 줄여서 CNAME 레코드(CNAME record)는 하나의 도메인 네임(에일리어스)을 다른 이름(표준 형식의 이름)으로 매핑시키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(DNS)의 리소스 레코
ko.wikipedia.org
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Route53/latest/DeveloperGuide/SOA-NSrecords.html
Amazon Route 53에서 퍼블릭 호스팅 영역에 대해 생성하는 NS 및 SOA 레코드 - Amazon Route 53
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.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.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.
docs.aws.amazon.com
'참고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Yarn과 npm의 호환성 경고: 무엇이 다를까? (1) | 2024.10.22 |
---|